신생아라고 하는 시기를 지나 100일이 된 아이를 어린이집으로 보내도 될지 말지 고민하는 것은 현재 많은 엄마들의 이야기거리다. 과거의 엄마들은 어린이집을 보내야 하나요 ? 라는 주제였다면 현재는 그래서 몇살에 보내는게 좋은가요 ? 가 주제가 되었다.
여러 자료를 찾아봐도 전문가들의 권유는 만 3세 이후입니다.
부모가 맞벌이하는 경우에는 더 일찍 보낼 수도 있고, 한부모 가정인 경우 바로 보내지기도 하고, 가정마다 각각의 사연이 존재하나 추천드리는 시기는 만 3세입니다.
3세 이전에 아이들을 보내지 않는 이유는 언어 발달과 인간관계 발달. 사회성 발달 등 지도 교사의 훈계로 인한 문제 등이 있기에 많은 양육자들의 고민거리이기도 합니다. 부부의 선택으로 키우는 아이임에도 불구하고 양가에서 많은 간섭들이 있기에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조금 일찍 간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거나 하지 않습니다. 중요한건 양육자가 아이에게 가지는 관심과 사랑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어린이집을 간다고 해서 없던 사회성, 말하기 단계가 급격하게 높아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엄마와 함께 집에서 시간을 보내며 여러 단어를 말하고 놀이를 하며 쌓아가는 시간들이 아이를 더 행복하게하고 여러 언어자극에 노출을 시킵니다.
어린이집에서는 의지할 엄마, 아빠가 없으며 통제받는다는 다인 관계로 진입하는 것이기에 아이에게는 매우 혼란스럽고 힘든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 3세 이후에 어린이집에 보낸다하더라도 집에서는 다정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놀면서 학습하는 것이 아이의 발달 사항에 있어서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훈육의 경우 24개월까지는 안 하는 것이 좋은데요 이는 아이에게는 그것이 생존이라는 말이 있기 때문입니다. 훈육의 경우 적당한 선이 있어야 하며 그것을 벗어나 다그치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만 3세 이후 어린이집을 꼭 보내야 하나요?
그건 아닙니다. 하지만 아이에게 주변 어른들과 함께 하는 일상, 혹은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는 일상이 존재한다면 어린이집을 보내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혹시라도 어린이집을 보내 다른 교육등을 받고 오게하겠다 ! 라는 생각이 있다면 말끔하게 접어주세요.
어린이집에서 받는 교육보다 우리 아이의 사회성발달과 인지능력발달이 우선입니다. 공부를 하는 습관을 위해서 어린이집을 보낸다는 것은 별로 좋지 않은 생각이며, 아이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 발달을 위해서 엄마와 아빠가 신경써주고 또래 친구들과 놀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기 위해 보낸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그러므로 말을 할 수 있는 시기에 보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워킹맘의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계획 고민 | 아이는 하나? 둘? 하나 일 때의 장단점과 둘 일 때의 장단점 (4) | 2024.11.22 |
---|---|
어린이집 등원 첫 등원 후기 (0) | 2024.04.17 |
은행 방문하지 않고 만드는 아이통장 ! 아기 통장 추천 토스뱅크 아이통장 추천인 기운찬쑥떡이10 (연 5.5%) (0) | 2023.10.27 |
일도 사랑도 육아도 포기 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0) | 2023.08.05 |
임신하면 졸린이유와 임신부 꿀잠 자는 방법 (0) | 2023.07.13 |